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국어사(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문법,체계)
    라이브 & Etc/음악(MUSIC) 2009. 9. 12. 20:48
    한국국어사(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문법,체계)

    2.4 표기
    ① 붙여쓰기 → 현대국어는 띄어쓰기
    ② 이어적기(연철)를 주로 한 표음표기 방식
    ③ 문장부호법은 사용되지 않음
    3. 근대국어
    3.1 음운체계
    3.1.1 자음체계
    ① 19자음으로 중세국어와 차이가 없다.
    ② 자음의 음운변화 - 경음화, 격음화, 구개음화(ㄷ,ㅌ,ㄸ이 모음 ㅣ와 인접하거나 활음 y의 영향을 받아 지,치,찌로 되는 현상)
    3.1.2 모음체계
    ① 8모음 체계 - ‘ㅣ/ㅡ/ㅓ/ㅜ/ㅗ/ㅏ/ㅔ/ㅐ’로 구성. 중세국어의 ‘’가 소실되고 ‘ㅔ’와 ‘ㅐ’가 단모음화
    ② 모음의 음운변화 - 원순모음화, 전설모음화
    3.2 문법체계
    ① 격조사와 특수조사 - 주격조사 ‘가’의 사용. 17세기에 존칭주격조사(셔,겨셔) 등장. 나머지는 중세국어와 유사함
    ② 시제 -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엇’과 미래시제를 나타내는 ‘겟’의 기능이 확립.
    ③ 경어법 - 객체존대 기능 약화. 상대존대와 어우러져 ‘-이다’ 등의 형태로 나타남. 상대 존대는 ‘ᅌ’의 소실로 ‘이’로 변함. 의도법선어말어미는 그 기능을 상실
    ④ 어말어미와 첨사 - 전성어미(체언화형어미는 ‘ㅁ/음/’형으로 단순화, 관형사형어미), 연결 어미, 종결어미(져→쟈), 첨사(중세국어와 동일)
    ⑤ 서법 - 종결어미(평서문,감탄문,명령문)와 첨사(의문문)로 실현. 중세국어와 유사.
    ⑥ 피동․사동
    - 피동문: 타동사의 어간에 ‘이,히,리,기’가 붙거나, ‘-어 디다’에 의함. → 이후에 ‘디다’가 ‘지다’로 변하면서 ‘-어 지다’피동형은 크게 확산됨
    - 사동문: 자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이,히,리,기,우,구,추’가 붙거나, ‘-게 하다’형에 의함
    ⑦ 부정법 - 중세국어와 큰 차이가 없음
    3.3 어휘체계
    ① 한자어와 차용어의 증가로 고유어에 대한 한자어 대치 현상이 늘어남
    - 온(百), 즈믄(千), 뫼(山),람(江) 등이 한자어에 자리를 빼앗기고 폐어화함

    1. 고대국어
    1) 음운체계
    2) 자음체계
    3) 모음체계
    4) 문법체계
    5) 어휘체계
    6) 표기

    2. 중세국어

    3. 근대국어

    4. 현대국어

    5. 시대별 예문

    국국어사(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문법,체계)
Designed by Tistory.